5장. High Performance 기업과 기업풍토


1. 고성과 기업을 만드는 필수요소, 기업풍토

 - 차별화된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 뛰어난 경여잇스템 그리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있음에도 고성과 기업과 저성과 기업이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 지속적으로 높은 성과를 창출하는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에는 어떠한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일까?

   : 학자들은 그 해답을 기업풍토에서 찾았다.

 

 1) 기업성장의 비결

   - 성장기를 넘어선 조직에서의 성과 창출은 직접적 경로보다 간접적 경로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 성과 창출의 간접적 경로는 역할분담, 리더의 역량, 관리 스타일, 조직풍토로 구성된다.

   - 저성장의 사업환경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해나가면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기업 경영의 핵심요소가 바로 '기업풍토'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2) 기업풍토의 실체에 대한 연구

   - 기업풍토는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 조직 구성원이 조직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느끼고 있는 일종의 문화

   - 그 기업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운영방식 

   

 3) 기업풍토의 구성요소

   - Litwin and Stringer의 풍토를 구성하는 아홉 가지 요소

     : 구성원의 행동에 제한을 가하는 구조, 책임감, 공정한 보상, 도전과 리스크에 대한 대처, 유대감과 온정, 지원과 협력, 성과 기준의 명확성, 갈등과 견해 차이에 대한 관용도, 응집력과 조직과의 일체감

   

   - Gordon and Cummins의 풍토를 구성하는 여덟 가지 요소

     : 목표나 계획을 인지함에 있어서의 명확성, 의사결정의 합리성과 결정사항에 대한 실행 및 평가,

       결과에 대한 책임의식과 성과지향성, 성과에 대한 공정한 보상,

       지원과 격려 등의 관리 스타일, 구성원의 잠재력 개발 기회,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조직의 통합, 조직의 활력과 역동성

   

   - 기업풍토는 기업문화와는 다른 개념임을 혼동하지 않도록 하자.

   - 기업의 문화나 분위기를 좋게 하는 것이 곧 기업풍토를 좋게 만드는 것이라는 착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   

 

2. 기업풍토의 혁신과 변화관리

 - 명확한 전략과 성과책임이 결합된 직무 중심의 전략실행 구조

 - 올바른 목표설정과 조직 구성원의 육성을 바탕으로 한 성과관리체제하에서만 기업의 풍토는 건강해질 수 있다.

 

 1) 고성과 기업풍토 조성을 위한 변화관리 요소(기업풍토 개혁의 변화관리(1~4), 실현(5~9) 단계)

   ① 전략의 완성도 (기업의 비전과 전략, 공감)

   ② 직무의 명확성 (Job Modeling 체계 구축)

   ③ 목표설정 수준의 우수성 (직무담당자의 설정 수준)

   ④ 표준적 업무처리 수준의 우수성 (고객만족경영, 식스시그마, TQM, JIT, SCM, ERP, 5S운동 등)

   ⑤ 현장 중심의 의사결정

    직무성과와 연결되는 인재 육성 (일상적인 업무활동 속에서의 코칭과 멘토링)

   ⑦ 조직 구성원이 느끼는 공정성(스스로가 느낄 때 진정한 의미)

   ⑧ 조직 몰입 (윤활유와 같은 역할, 즉 보완적인 수단이다. ex) 다양한 활동 - 체육대회, 사내 동호회 등)

   ⑨ 리더십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 위 내용들은 리더의 결심 없이 실행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 

  - 리더가 주도했을 때만 효과를 볼 수 있는 내용들이다.

 

  - 즉 리더가 풍토를 개혁하고 변화시키는 선구자가 되어야만 그 리더가 관장하고 있는 조직에 고성과 풍토를 조성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생각해보기

1. 우리 회사의 현재 기업풍토는 어떻다고 보는가?

2. 우리 회사가 기업문화만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올바랐을까? 기업풍토는 신경썼는가?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지만, 조직 구성원들이 형식적인 참여만 하고 있지는 않는가?

3. 이 책은 188~191페이지만 봐도 될거 같다..?

+ Recent posts